안녕하세요, 잠실 멘토입니다.
가끔 분양권이나 재건축, 재개발 등 관련 뉴스가 언급될 때마다
건폐율과 용적률이란 단어를 들으신 적이 있을겁니다.
이제 공급면적, 전용면적 용어들은 정확하게 알겠는데
건폐율과 용적률은 또 무슨 말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이번 시간에는 쉽고 간단한 건폐율과 용적률 정의와 계산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건폐율과 용적률은 한자로 구성된 단어입니다.
세울 건建, 덮을 폐蔽 ---> 건폐율
용량 용容,쌓을 적積 ---> 용적률
사전적인 정의는 이러하며 쉽고 간단한 건폐율과 용적률 정의와 계산방법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의 예시와 계산방법
건폐율: 40%, 용적률 200%
여러분에게 100㎡의 토지가 있습니다.
건폐율이 40%라면 1층의 바닥 면적이 40㎡입니다.
즉, 40㎡이하까지 가능하며 초과해서는 지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용적률이 200%라면 전체면적의 2배, 200평이 됩니다.
여기서 40(㎡)으로 나누면 5가 나옵니다.
즉, 40㎡으로 5층까지 지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즉,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을수록 더 넓게 더 높이 건축물을 지을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즉, 그만큼 토지 가격도 비싸지게 되는 이유입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은 기본적으로
국토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즉, 국토계획법에 의하여 정해져 있습니다.
용도 지역(주거, 상업, 녹지 등), 인구 규모와 해당 구역의 면적의 특성 등에 따라 대통령령의 기준에 의해
도시·군 계획 조례로 정해집니다.
또한, 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 확인은 자치법규 시스템 홈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쉽고 간단한 건폐율과 용적률 정의와 계산방법 응용을 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건폐율과 용적률을 구하는 계산 방법입니다.
건폐율= 건축면적/대지면적 X 100
용적률 = 연면적 / 대지면적 X 100
(연면적: 1개동의 총 바닥 면적 합계 입니다.)
만약, 지하층이 있거나, 지상에 주차장이 있는 건물이라면 어떨까요?
만약 대지면적 800㎡ 지하 1층이 있는 3층 건물에 각 바닥 면적이 400㎡인 건물일 경우
건폐율 계산
400㎡ / 800㎡ X 100 = 50%(건폐율)
연면적만 구한다면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계산
400㎡ X 4 = 1,600㎡입니다.
하지만, 용적률 산정 시, 연면적을 계산할 때는 제외되는 4가지가 있습니다.
1. 지상 주차장
2. 지하층
3. (준)초고층 건물의 피난안전구역
4. 경사지붕 아래 대피 공간
즉, 용적률이 얼마인지 계산하기 위해서는 윗 그림에 지하1층이 있으므로 400㎡를 제외한
지상 3층 바닥 면적의 합 1,200㎡만 연면적으로 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즉, 1,200㎡/800㎡ X 100 = 150%(용적률)
즉, 그림의 건폐율과 용적률은 각각 50%, 150%가 되겠습니다.
쉽고 간단한 건폐율과 용적률 정의와 계산방법 이제 모두 정리가 되셨는지요?
부동산 기초 용어부터 하나씩 올리기 시작하면서 저도 다시 한 번 복습하고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쉽고 간단한 건폐율과 용적률 정의와 계산방법 포스팅은 여기까지 마무리하고 또, 많이 궁금해하실 만한 주제를 들고
찾아오겠습니다.
모두 편안한 밤 보내시길 바랍니다~^^~
'All about 부동산 > 부동산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주택 용어 설명 (0) | 2020.03.28 |
---|---|
부동산 기초 용어 설명: 공급면적, 공용 면적, 전용 면적 (0) | 2020.03.27 |
댓글